본문 바로가기

bean2

[spring] annotation 이용한 DI 자바에서 Annotation(@)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이며 특별한 의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수업때 2가지 경우를 실습해보았는데 2가지 경우에서 사용한 어노테이션을 위주로 복습하면서 작성하였다. 어노테이션의 종류는 훨씬 다양하다고 하니 기본부터 익히고 차차 다른 종류도 공부해봐야 할 것 같다. 1. @Configuration & @Bean @Configuration //클래스를 스프링 설정 클래스로 지정하고 스프링 빈으로 등록을 하겠다. public class BeanFactory { @Bean public Person createPerson() { Person p2 = new Person(); p2.setName("유재석"); Food myfood = new Chicken(); p2.. 2021. 10. 20.
[spring] DI, IOC란? 1. DI (Dependecy Injection) 의존 관계 주입기능으로 사용하는 객체를 직접 생성하여 만들지 않고,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시켜주는 방식이다. 컨테이너가 빈의 설정 정보를 읽어와 자동으로 해당 객체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의존성을 주입받게 되면 이후 해당 객체를 수정해야 할 상황이 발생했을 때 소스코드의 수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DI를 통해서 각 모듈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 방법 1 (의존성 주입 X) : A객체가 B , C 객체를 New생성자를 통해서 직접 생성하는 방법이다. 아래와 같이 BoardServiceImpl 클래스에서 BoardDao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방식이다. BoardServiceImpl 클래스를 만들려면 BoardDao 클래스를 필요로 하는데,.. 2021.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