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5 [Java] 메모리구조 & 참조변수 1. 메모리 구조 메모리 공간은 Static영역, Stack영역, Heap영역으로 구분되고, 데이터타입(자료형)에 따라서 해당 공간에 할당된다. 1) Static 하나의 JAVA 파일은 크게 필드(field), 생성자(constructor), 메소드(method)로 구성된다. 필드 부분에서 선언된 변수(전역변수)와 정적 멤버변수(static이 붙은 자료형) Static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Static 영역의 데이터는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료가 될 때까지 메모리에 남아있게 된다. 다르게 말하면 전역변수가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한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역변수를 무분별하게 많이 사용하다 보면 메모리가 부족할 우려가 있어 필요한 변수만 사용할 필요가 있다. 2) Heap 참조.. 2021. 5. 3. 2회차_이클립스 하위 패키지 생성 이클립스에서 패키지 안에 패키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매우 쉬운 방법이지만 몰라서 구글링하면서도 헤맸습니다ㅎㅎ 1. 결과물 먼저 보기 일단 아래와 같이 결과물을 생성할 예정입니다. practice 라는 패키지 아래에 object와 variable 패키지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패키지 안에 패키지 생성하기 2-1. new - package 생성 - 패키지명 : "상위패키지명.하위패키지명" 아래와 같이 [ 상위패키지명.하위패키지명 ] 으로 패키지를 만들어 줍니다. -> 저는 practice.variable / pracitce.object 총 2개 만들어 줬습니다. 2-2. 패키지 생성 결과 아래 그림대로 보이시는 분들이 있을 거에요 처음 봤던 결과물대로 나오게 하는 방법이.. 2021. 4. 7. [python] 달팽이 배열 풀기 요즘 퇴근하고 그리고 주말에 파이썬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있어요. 12월부터 앱을 하나 만들어볼까 하는데 그전에 알고리즘 문제는 어떤 건지 알고싶어서 하고 있는데 재미가 있어서 계속 하다보니 11월 안에는 알고리즘 기초책 한권을 다 끝낼 것 같아요!ㅎㅎ (실력이 상승했는지는 답 못함^^;) 알고리즘에도 여러 유형이 있지만 오늘은 복습할 겸 달팽이 배열에 대해 쓰도록 하겠습니다! 책 '코딩강화파이썬'(저자 이규호 (2019)) p.237,238 참고하여 풀었습니다. 1. 문제 사용자에게 n을 입력받아 다음과 같이 달팽이 모양으로 자연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재귀 호출은 사용하지 않는다.(힌트: 2차원 리스트 사용) n 1 2 3 4 모양 1 1 2 4 3 1 2 3 8 9 4 7 6 5 1.. 2020. 11. 22. [Python-2] 변수 변수: 값을 저장하는 공간 1. 변수 X print("우리집 강아지 이름은 댕댕이입니다.") print("댕댕이의 나이는 4살이고 산책을 좋아합니다.") 위와 같이 동일한 문장에 이름이나 나이같은 요소만 바꾸고 싶은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 위와 같이 매번 요소들을 지우고 새로 작성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2줄이 아닌 200줄이라면 그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 이럴 때 변수를 이용하면 매번 새로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아래에서 확인해봅시다.) 2. 변수 O 변수 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 animal 변수에 "강아지"라는 값을 넣습니다. - name 변수에 "댕댕이"라는 값을 넣습니다. - age 변수에 5 라는 값을 넣습니다. - like 변수에 "산책"라는 값을 넣습니다... 2020. 7. 31. [Python-1] 자료형 기초 자료형(자료의 형태) 1. 숫자 자료형 print함수에서 숫자 출력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연산도 출력 가능합니다. print(3) 과 같이 ""또는 ''없이 사용가능합니다. 2. 문자열 자료형 - 숫자형과 달리 문자형은 print("풍선")과 같이 문자의 양옆에 " "또는 ' '을 적어주어야 합니다. - print("ㅋ" * 6) 의 연산은 오류가 나지 않고 ㅋㅋㅋㅋㅋㅋ이 출력됩니다. - 하지만 위 사진에서와 같이 " "이 없는 print(ㅋㅋㅋㅋㅋㅋ)은 오류가 나게 됩니다. 그리고 5번째 줄에서 오류가 나면 그 위로는 출력값이 보이지만 5번째 줄 밑으로는 출력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문자형 사용에는 잊지않고 " " 또는 ' '을 사용해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3. boolean .. 2020. 7. 31. 이전 1 다음